'다돌봄' 서비스에 대한 제 생각을 포스팅 했었죠.
물론 2019-2020년 정도에 첫 시행을 했지만
지역사회에 스며드는 시간이 꽤 걸리는것 같아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이번에는 직접적으로
내가 사는 동네, 내 지역에서 어떻게 시행되며
어떤 혜택이 주어지는 것인지 궁금해 하실 수
있을것 같아서 이번 포스팅을 준비해봐요.
여러분도 필요에 따라, 시청이나 주민센터에
문의 하시면 자세한 내용을 안내받으실 거예요.
서울특별시
서울시는 '돌봄SOS센터'를 통해 긴급돌봄,
일상돌봄, 정보제공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요.
각 자치구별로 운영되며, 지역 주민들의
돌봄 수요에 맞춰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행되요.
경기도 성남시
성남시는 '성남형 돌봄' 모델을 도입하여,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돌봄 서비스를 제공해요.
특히, 노인, 장애인, 아동 등을 대상으로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어요.
부산광역시
부산시는 '부산형 커뮤니티케어'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 체계를 구축하고 있어요.
이를 통해 돌봄이 필요한 주민들이 지역 내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요.
전라남도 순천시
순천시는 '순천형 통합돌봄' 모델을 통해
지역 주민들이 주도하는 돌봄 서비스를 시행해요.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돌봄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방식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 체계를 강화하고 있어요.
지역별 '다돌봄' 서비스
확인 방법
지자체 복지 담당 부서 문의
각 시·군·구청의 복지 또는 돌봄 담당 부서에
문의하시면 해당 지역의 '다돌봄' 서비스 시행
여부와 신청 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지역 복지관 및 주민센터 방문
지역 내 복지관이나 주민센터를 방문하시면
'다돌봄' 서비스에 대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어요.
온라인 포털 및 지자체 홈페이지 확인
각 지자체의 공식 홈페이지나 복지 포털 사이트에서
'다돌봄' 서비스 관련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어요.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의 마음은 늘 거기 있어요 – 7080세대가 자식에게 바라는 다섯 가지” (3) | 2025.04.29 |
---|---|
"나락도 락, 럭키비키: 힘든 세상에서도 웃으며 걷는 MZ세대 이야기" (0) | 2025.04.28 |
초고령 사회, '다돌봄'으로 돌봄 공백을 메울 수 있을까요? (2) | 2025.04.28 |
방탄소년단이 긍정적 이슈로 주목받는 이유 (0) | 2025.04.27 |
인성이 빛나는 롱런의 비결: 박보검과 손흥민에게 배우는 겸손함 (1) | 2025.04.27 |